반응형

고혈압과 사망원인의 관계 그리고 주요 합병증

 

고혈압 환자에게 고혈압 자체가 사망원인은 아니다. 그러나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으면 혈관 손상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하게 된다. 고혈압의 주요 합병증에는 뇌졸중,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등이 있습니다. 고혈압은 특히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을 가장 크게 높이는 위험요인이다. 따라서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공급의 장애로 생기는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허혈성심질환이 있고 심장의 기능 저하 상태인 심부전, 그리고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등의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질환에는 고혈압이 주요 위험요인이 된다. 특히 뇌졸중과 관련성이 높다고 한다.

 

 

고혈압 식습관 및 생활습관

 

절주

고혈압 환자에서 적절한 음주는 남성은 하루 2잔 이하, 여성은 하루 1잔 이하로 제한한다. 1회 알코올 음주량 기준으로 남성은 하루 2-3잔(20g-30g의 알코올), 여성은 하루 1-2잔(10g-20g의 알코올) 이하이다. 

1주일 총 알코올 음주량 기준으로 남성은 140g, 여성은 80g 미만을 유지 권고한다. 하루 음주 허용량은 술의 종류(에탄올)를 기준으로 하루 30g으로서, 맥주 720mL(1병), 와인 200-300mL(1잔), 정종 200mL(1잔), 위스키 60mL(2잔), 소주 2-3잔(1/3병) 이하이다.

 

 

금연

담배 중에 함유된 니코틴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혈압과 맥박이 상승된다. 흡연은 고혈압과 마찬가지로 심혈관질환의 강력한 위험인자로써 아무리 혈압을 잘 조절한다 하더라도 지속된 흡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에 노출된다. 당연히 간접흡연도 위험합니다. 금연 보조품에 함유된 낮은 양의 니코틴은 혈압을 상승시키지 않기 때문에 금연 행동 요법과 함께 사용할 수는 있다.

 

 

싱겁게

소금의 권장 섭취량은 1 티스푼 정도인 하루 6g 이하이다. 따라서 소금에 대한 주의할 군은 고령자, 비만자, 당뇨병 또는 고혈압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이다. 따라서 환자가 소금에 대한 반응이 높을수록 적극적 저염식을 통하여 혈압을 더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야채와 과일

채식주의자는 육식을 주식으로 하는 사람보다 혈압이 낮은 편이다. 따라서 채식 위주로 식사를 유지하면 고혈압 환자의 혈압이 낮아질 수 있다. 이런 효과는 과일, 채소, 섬유질의 섭취 증가와 포화지방산 섭취의 감소에 의한 복합적인 효과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 그리고 섬유소와 미네랄,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적절히 포함된 식사를 하고 충분한 야채와 적당한 과일은 매일 섭취해야 한다. 설탕 등 단순당과 포화지방산 및 전체 지방 섭취량을 줄이고, 야채와 해산물 중심인 지중해식 식단이 추천된다. 마지막으로 최소 주 2회는 생선을 먹고 적정량의 커피는 제한하지 않아도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