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F 머니마켓펀드 뜻
머니마켓펀드는 Money Market Fund로 직역된다. 이를 줄여 흔히 MMF라고 불린다. 머니마켓펀드 MMF는 고객의 일시적인 여유자금을 금리위험과 신용위험이 적은 국공채, 어음 등에 운용하고 이러한 운용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배당하는 펀드의 일종이다.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 중 하나이다.
MMF 머니마켓펀드 특징
그렇다면 MMF 머니마켓펀드의 주요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MMF로 들어온 자금은 특히 부도 위험이 거의 없는 국채 및 통화안정증권 등의 채권, 우량 CP, CD 및 예금 등으로 운용된다. 주로 만기가 짧아 가중평균 잔존만기가 75일 이내로 제한되고 있다. 편입자산의 신용등급은 취득 시점을 기준으로 채권은 AA 이상, CP는 A2 이상인 상위 2개 등급 이내여야 한다. 또한 주식과 관련이 있는 채권(전환사채 등)이나 사모발행채권 등은 운용대상 자산에서 제외된다.
일반적으로 주식형 펀드나 채권형 펀드는 편입자산의 시장 가격을 매일 기준 가격에 반영하는 시가평가를 하고 있다. 반면에 머니마켓펀드 MMF는 편입자산의 만기가 매우 짧은 데다 신용도도 매우 우량하여 장부가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당일 입금 및 당일 환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다른 펀드에 비해 유동성이 높은 편으로 인정받는다. 한편 자산의 운용은 자산운용사가 하고 판매는 은행과 증권사가 하고 있다.
단기금융시장(머니마켓 Money market) 뜻
MMF와 같은 상품이 속해 있는 단기금융시장(money market)은 금융기관, 기업 등 경제주체들이 단기적인 자금수급 불균형을 조절하기 위하여 통상 만기 1년 이내의 단기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시장을 말한다. 이 시장은 기업의 시설 자금이나 장기운전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되는 주식, 채권 등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에 대응하여 자금시장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우리나라 단기금융시장
현재 우리나라 단기금융시장에는 양도성 예금증서(CD) 시장, 콜시장, 기업어음(CP) 시장, 환매조건부 채권매매(RP) 시장, 전자단기사채시장, 통화안정증권시장(만기 1년 이내) 등이 있다. 특히 이러한 시장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파급되는 시발점이 되는 시장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변경은 단기금융시장 금리 변화를 통해 장기금리 및 금융기관 예금・대출금리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궁극적으로 생산, 물가 등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기금융 시장이 발달되어 있으면 활발한 재정거래를 통해 통화정책의 파급효과가 원활히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단기금융시장은 단기자금을 손쉽게 조달하거나 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주체들에게 일시적인 단기자금 수급 불균형에 따른 유동성 관리를 용이하게 해 주며 단기금융상품은 만기가 짧아 장기금융상품에 비하여 금리변동 위험이 크지 않아서 유동성이 높으므로 금융상품 보유에 따른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기도 하니 유동성 관리에 참고하면 된다.
'주식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램 매매와 헤지펀드 알아보기 (0) | 2021.10.19 |
---|---|
유로마켓(Euro market)과 유로달러(Euro dollar) (0) | 2021.10.16 |
COFIX 코픽스 자금조달비용지수 뜻 (0) | 2021.10.15 |
전환사채(CB) 및 신주인수권부사채(BW) 뜻 (0) | 2021.10.14 |
주식용어 알아보기(서킷브레이커 뜻) (0) | 2021.10.13 |